제이콥의 법칙(Jakob’s Law) - UX 심리학
제이콥의 법칙(Jakob’s Law) — UX 심리학
사용자를 배려하기 위한 첫번째 이야기
“사용자는 다른 웹사이트를 통해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디자인 관례에 대한 기대치를 형성하는 경향을 보인다”
이 문장은 사용성 전문가인 제이콥 닐슨이 2000년에 제창한 ‘인터넷 사용자 경험에 관한 제이콥의 법칙' 이라고도 알려진 제이콥의 법칙을 한 문장으로 표현한 것입니다. 이 글의 목표는 이 문장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파악하는 것입니다.
익숙함이 가진 힘

구글 머티리얼 디자인
익숙하다는 건 엄청난 가치가 있습니다. 우리가 Google Material Design의 버튼이나, 인터넷 쇼핑물 사이트에서 바로 쇼핑을 할 수 있는 이유도 바로 익숙함 때문입니다. 이처럼 처음 접하는 디지털 제품이나 서비스더라도 디자인이 익숙하다면 사람들은 사용법을 금세 깨우치게 됩니다.
반대로,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경험해 보지 못한 디자인을 사용한다면 인터페이스를 익히는 데 드는 정신적 에너지가 줄어들수록, 사용자가 목표 달성에 투자할 에너지는 늘어납니다. 디자이너라면, 인터페이스를 만들 때 사용자를 불편하게 할 방해 요소를 최대한 제거해서 사용자가 목적을 달성하게 해줘야 합니다.
축적된 경험의 힘
제이콥의 법칙은 일반적인 디자인 관습을 따를 것을 권장합니다. 익숙한 경험을 제공한다면 사용자는 우리 시스템에 더욱 집중할 수 있을 것이고, 반대로 특이한 관습을 적용하면 사용자는 불만과 혼란을 느껴 작업을 포기하고 떠날 확률이 커집니다.
우리는 사용자의 축적된 경험을 이용해야 합니다. 이런 경험들은 새로운 웹사이트나 제품을 접할 때 제품의 작동 방식과 기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

멘탈 모델에 관한 이야기
심리학 용어 중 멘탈 모델이라는 말이 있습니다. 멘탈 모델이란 우리가 어떤 시스템에 관해 그 시스템의 작동 방식에 관해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바를 의미합니다. 우리는 항상 새로운 것을 접할 때 과거의 경험으로 쌓은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대상과 상호작용합니다.
다시 말해 다른 제품에서 얻는 기존 지식을 새 제품이나 경험에 활용하기 때문에, 기존의 경험을 활용한다면 새로운 시스템의 작동 방식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익지적 노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. 다시 말해, 디자인을 사용자의 멘탈 모델에 맞추면 사용자 경험이 개선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.
멘탈 모델을 따르지 않는다면 디자인은 문제를 일으킵니다. 사용자가 기존의 경험을 이용하지 못해 사용자가 서비스를 인지하는 방식이나 이해하는 속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멘탈 모델 부조화를 겪기 때문입니다.
멘탈 모델 부조화의 사례
![]()
멘탈 모델 부조화의 대표적인 예로 스냅챗 2018 리디자인이 있습니다. 당시 스냅챗은 점진적인 변화를 도모하는 대신, 스토리 기능과 채팅 기능을 갑자기 한데 합쳐버리는 등 사용자에게 익숙하던 앱 포맷을 대대적으로 정비했습니다.
사용자들은 새로운 포맷에 적응하는데 불편함을 겪었고, 서비스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.
대대적인 리디자인은 피해야 하는가?
사용자가 늘 대대적인 리디자인을 꺼리는 건 아닙니다. 사용자에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배려해주어야 합니다. 대표적인 리디자인 성공 사례로 구글의 2017 유튜브 리디자인이 있습니다. 구글은 사용자에게 새 디자인을 강요하기 보다, 새로운 디자인에 서서히 익숙해지게 하였으며 익숙해지는 동안 피드백을 보내거나 이전 디자인으로 돌아갈 수 있게 자율성을 부여했습니다.
그렇게 구글은 사용자가 새로운 디자인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을 때 새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게 하였고 그 결과 멘탈 모델 부조화의 부작용이 경감되었습니다.
제이콥의 법칙은 모든 제품과 경험이 똑같아야 한다는 것일까?
이러한 의문이 생길 수 있습니다. 하지만, 제이콥의 법칙이 똑같은 디자인을 옹호하는 법칙은 아닙니다. 핵심은 사용자가 새로운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기존 경험을 활용하자는 것입니다.
사용자를 배려해주세요.
제이콥의 법칙은 새로운 것을 접할 때 소요되는 인지적 노력을 절감시키기 위해, 기존 멘탈 모델을 반영한 통상적인 관례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습니다. 사용자를 배려하기 위해 처음에는 일반적인 패턴과 관례를 따르다가, 이치에 맞는 새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 관례에서 벗어나는 건 어떨까요?
출처 : https://medium.com/@limsaehyun/%EC%A0%9C%EC%9D%B4%EC%BD%A5%EC%9D%98-%EB%B2%95%EC%B9%99-jakobs-law-ux-%EC%8B%AC%EB%A6%AC%ED%95%99-5fd1a8885207